공부 시간 13:00 ~ 15:30 학습 내용 typescript, 함수 조합의 원리와 응용 학습 방법 ebook을 통한 학습 후기 원래는 타입스크립트의 문법을 단순하게 공부하려고 ebook을 구매했는데, 해당 책에서는 타입스크립트를 통해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어떤 것인지 어느정도 설명이 나와있다. 아직은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단어들이나 생각 방식이 나랑 익숙하지 않아서 조금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데 그만큼 새로운 사고 방식을 배우는 것 같아서 매우 흥미롭다. 그런데 사용되는 단어의 개념들이 머릿 속에 직관적으로 들어오지 않아 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야겠다고 판단했다. 오늘은 클러스터에 나와서 공부 + 사람이 별로 없어서 고요한 환경이라 집중이 더 잘되었다. 또한 잠도 푹 잤기 때문에..
공부 시간 15:00 ~ 17:00 학습 내용 typescript 학습 방법 ebook을 통한 학습 후기 오늘 하기로 마음먹고 2시간을 진행했다. 종종 다른 생각이 나서 잠깐 인터넷을 둘러본 것을 제외하고는 만족스러운 학습이였다. 아쉬운 점은 2시간동안 완벽하게 집중하지는 못해서 조금 더 집중을 해보고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방해가 될만한 요소들을 사전에 차단하거나 미리 고민을 해두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 내일은 그렇게 하기 위해서 노력해야겠다.
시작 나는 만드는 것이 재밌고 그것을 운영하는 것이 재밌다. 그리고 그러한 것들을 이뤄줄 수 있는 것 중에 개발이 가장 적합하고 재밌어서 선택하게 되었다. 그런데 어떤 특정한 대상을 만들어보려고 시작한 것이 아니고 단순히 재밌어서 시작했기 때문에, 누군가 나에게 개발해서 무엇을 만드냐고 물어보면, 대답을 하기가 애매했다. 사실 계속 아무거나 만들다보면, 개발에 관심만 있으면 무엇을 만들고 싶은지 자연스럽게 찾아질 것이라고 막연하게 생각했는데 몇 년간 아무것도 찾아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제는 내가 직접 찾아야겠다. 그래서 생각한 방법은 n일 도전이다. n일 도전은 n일간 한 분야에 몰두하는 것을 의미한다. 몰두하는 방법으로는 하루에 최소 2시간은 그 분야에만 집중하는 시간을 갖고 그에 대한 피드백을 작성하는..
시퀀스 다이어그램 정의 메시지 교환을 시간적 관계로 나타낸 것이다. 특징 수직 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시간은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 상호 작용에 관여된 객체는 수평 축을 따라 상단에 나열된다.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메시지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르도록 배치되지만 수평 축에서의 순서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클래스 다이어그램이 시스템의 정적 구조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모델이라면, 시퀀스 다이어그램은 시스템의 동적 흐름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모델이다. 객체 표현 객체이름: 클래스 이름 (예시 : blog001:Blog ) 반드시 두 가지를 명시해야하는 것은 아니고, (:클래스 이름), (객체이름:) 과 같이 하나씩만 명시해서 사용해도 무방하다. 과 같은 표현을 통해 스테레오 타입을 명시할 수 있다. 클래..
일시 2021-03-06 (토), 오전 11시 장소 수서역 인근 카페 인원 3명 내용 모각코 진행 방식 결정 (하루 기준) IT 소식 대화 (10~30분) 모각코를 시작하기 전에 이번주에 알아본 IT 소식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눠봅니다. 오늘 할 일 보고 (10~20분) 팀원들과 오늘 할 일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눕니다. 모각코 각자 프로젝트 혹은 스터디를 진행합니다. 오늘 한 일 보고 (10~20분) 오늘 한 일에 대하여 얼마나 했고 어떻게 진행했는지 간단하게 이야기합니다. 내용 정리 (10~20분) 오늘 모각코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작성합니다. 모각코 진행 방식 결정 (한달 기준) 진행 상황 발표 (1~2시간, 매월 첫째주 토요일) 전월 공부한 자료를 바탕으로 팀원들에게 발표를 진행합니다. 모각코 진행 ..
오늘의 글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피드백을 받았던 것들에 대하여 요약하고 그에 대한 나의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 작성한다. 나는 이 글을 통해 오늘 받았던 생각들에 대해 정리하고 결론을 내릴 것이다. ※ 한 가지 주제에 대한 피드백은 아니고 오늘 받았던 모든 피드백에 대하여 작성할 것이기 때문에, 모든 피드백들은 한 가지 방향성을 띄고 있지는 않다. 프로젝트에 대하여 주인 의식을 가져라. 사실 이렇게 말씀하시진 않았다. 하지만 내가 요약하고자하는 핵심은 위와 같다. 또한 이번 프로젝트에서 나는 팀을 리드하는 역할은 아니지만 팀을 리드하는 사람이 주인 의식을 더 가져야한다는 것은 악습처럼 퍼져온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프로젝트에는 필연적으로 리더, 리드를 당하는 사람들 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