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 수신? 문자열 수신은 이전 단계에서 진행한 것처럼 문자를 비트로 수신받아 그 비트들을 쉬프트 연산을 통해 숫자를 만들어주면 된다. 이때 신호를 받기 위해서 signal이라는 함수를 사용해야한다. 해당 함수는 특정 신호를 받았을 때 등록된 함수를 실행시켜준다. 그래서 SIGUSR1, SIGUSR2를 받았을 때 그에 맞게 함수를 꾸려주면 해당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문자열의 끝을 만나면 해당 문자열을 출력해주기만 하면 문자열 수신이 완료된다. 이렇게 기능을 구현하여 알맞게 살을 붙여 코딩을 진행하면 100점을 맞을 수 있다!
문자 전송? 문자열 전송은 다수의 문자를 순서에 맞게 보냄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문자를 보내는 방법을 알게된다면 그 행위를 반복함으로써 문자열 전송을 해결할 수 있다. 그렇다면 문자는 어떻게 전송할까? C언어에서 문자는 아스키 코드로 표현되고 그로인해 문자를 숫자에 각각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문자 'a'는 97이라는 숫자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우리는 97이라는 숫자를 2진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나타내면 이와 같은 숫자가 나온다. (1100001) 다시 문제로 돌아가 우리는 SIGUSR1, SIGUSR2 이렇게 2개의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숫자의 비트는 쉬프트 연산을 이용하여 얻어낼 수 있다. 이제 1을 만나면 SIGUSR1을 보내고, 0을 만나면 SIGUSR2를 보냄으로써 97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UlaUK/btq6rvnAyWY/3GEKcbGMqHoByWHCJg6j21/img.png)
Minitalk 서브젝트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문자열을 전송해 서버에서 그 문자열을 출력하는 두 개의 프로그램을 만드는 문제다. 정말 간단한 느낌이지만 서로 다른 프로세스로 동작하기 때문에 어떻게 처리해야할지 고민을 해야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서브젝트에서 제시한 내용은 UNIX 시스템의 signal이다. 그리고 signal 중에서도 SIGUSR1과 SIGUSR2 만 사용하는 것을 조건으로 제시했다. 즉, 2가지 Unix signal을 이용하여 문자열을 주고 받는 2개의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minitalk이다. 그러면 이제 다음 글을 통해 어떻게 풀 것인지 알아보자! 밑에는 다음 글을 보기 전에 미리 알면 좋을 힌트다~ 문제 풀이 힌트 출처 https://www.quantil.com/conte..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RDaK8/btq4XbEmh6O/lzwV6lVfkFuXzQ3V0DlVR0/img.png)
티스토리를 사용하다보면 구독 버튼이 어디있는지 파악이 잘 안되는 경우가 많다. PC의 경우에는 설정에서 구독 버튼을 활성화 시켜놓으면 잘 보이지만, 모바일에서는 그러한 기능이 적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 구독 버튼을 블로그에 만들어 넣음으로써 해결해보자. Step 1. 구독 버튼 표시 해제 해당 단계는 구독 버튼을 표시해둔 사용자들에게만 해당된다. 본인이 직접 만든 구독 버튼을 넣을 예정이기 때문에 설정 -> 꾸미기 -> 메뉴바/구독 설정에 들어가 구독 버튼 표시를 해제해주자. Step 2. 모바일 꾸미기 설정 해제 해당 단계는 모바일 꾸미기 설정을 해둔 사용자들에게만 해당된다. 티스토리는 모바일 환경에서는 다른 스킨을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가 만든 스킨이 ..
공부 시간 14:30 ~ 16:30 학습 내용 typescript, 람다 라이브러리 학습 방법 ebook을 통한 학습 후기 아직 3일차인데 벌써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 어제는 개인 사정으로 인해 시간을 할애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에 다음날에 2시간을 더 할 것인지 아니면 못한거는 못한대로 진행해야할 것인지 정해두지 않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래서 오늘 정해보자면, - 실패한 날은 따로 진행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실패한 날짜로 기록와 이유를 기록해둔다. - 도전이 끝난 뒤에 다시 실패하지 않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할지 기록한다. 이번 n일 도전은 위와 같이 정해두고 진행해야겠다. 언어 공부 자체는 현재 단원이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파트라서 그렇게 어렵지는 않았지만, 함수형 프로그래밍 특징인지, ..